땀두 블로그

안드로이드의 이해 2 본문

Android

안드로이드의 이해 2

땀두 2020. 6. 21. 15:11

개발 디렉터리와 파일 구조

앱의 디렉터리와 파일

분명 나는 프로젝트를 하나만 만들었는데 만들어진 프로젝트 폴더를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디렉터리가 3개나 생겨있다.

이곳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폴더는 main 디렉터리이다.

이 안을 둘러보면 다양한 파일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탐색창을 보며 설명하겠다.

 

AndroidManifest.xml - 앱의 메인 환경 파일

MainActivity.java - 화면 구성을 위한 액티비티 컴포넌트. 이 파일이 실제로 수행되어 화면에 UI로 출력된다.

res - 다양한 리소스파일들을 가지고 있는 폴더

  • drawable - 이미지 저장을 위한 폴더
  • layout - 리소스 중 UI를 구성하는 레이아웃 xml 파일
  • mipmap - 앱의 아이콘을 위한 폴더
  • values - 문자열이나 다국어처리 등의 일을 해주기 위한 폴더

R.java

이런 구성을 가지고 있는 앱을 만들다보면 다양한 리소스들이 생성되는데, 코드영역에서 이를 판단하는 것을 도와주는 파일이 R.java이다. 이는 툴이 자동으로 만들어주고, 그 내용도 변수 선언만 되어있기 때문에 수정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그레이들 파일

gradle은 앱에 포함된 리소스나 자바 코드를 컴파일하고 빌드 작업을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개발자들은 주로 build.gradle 파일에서 설정을 해준다.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프로젝트 수준의 그레이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형식의 코드를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주로 dependencies부분에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정도로 사용한다.

 

바로 밑에 있는 같은 이름을 하고 있는 build.gradle은 내용이 조금 다르다.

 

이곳에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그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

compileSdkVersion - 사용하는 컴파일 버전

applicationId "com.example.myapplication" - 앱 식별자

minSdkVersion 26 - 최소 지원 sdk버전

targetSdkVersion 29 - 사용하고 있는 sdk버전

versionCode 1 - 앱의 버전

dependencies - 앱을 위한 라이브러리 종속성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의 이해 1  (0) 2020.05.1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첫 어플 실행  (0) 2020.05.1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