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FS
- Greedy
- join
- BFS
- 이펙티브자바
- 코테
- 그리디알고리즘
- DP
- 데이터베이스
- 백준
- db
- springboot
- IntelliJ
- Effective Java
- 프로그래머스
- mariaDB
- 알고리즘
- 우선순위큐
- mybatis
- Database
- 정렬
- 깊이우선탐색
- 피보나치
- select
- java
- SQL
- 탐욕법
- 너비우선탐색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Spring
- Today
- Total
목록Android (3)
땀두 블로그

개발 디렉터리와 파일 구조 앱의 디렉터리와 파일 분명 나는 프로젝트를 하나만 만들었는데 만들어진 프로젝트 폴더를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디렉터리가 3개나 생겨있다. 이곳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폴더는 main 디렉터리이다. 이 안을 둘러보면 다양한 파일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탐색창을 보며 설명하겠다. AndroidManifest.xml - 앱의 메인 환경 파일 MainActivity.java - 화면 구성을 위한 액티비티 컴포넌트. 이 파일이 실제로 수행되어 화면에 UI로 출력된다. res - 다양한 리소스파일들을 가지고 있는 폴더 drawable - 이미지 저장을 위한 폴더 layout - 리소스 중 UI를 구성하는 레이아웃 xml 파일 mipmap - 앱의 아이콘을 위한 폴더 val..

오늘은 안드로이드의 특징 및 프로젝트에 대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 특징 안드로이드의 특징 공개 운영체제인 리눅스 기반 안드로이드 앱 개발은 자바(Java) 및 코틀린(Kotlin)을 이용 운영체제의 핵심 코드, 라이브러리 코드, 기본으로 탑재된 구글에서 만든 코드 등 대부분의 코드가 오픈되어 있음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자가 제작한 앱을 배포할 수 있음 이렇듯 안드로이드는 많은 부분이 오픈되어 있다는 점에서 개발자 관점에서는 장점이 될 수 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라이브러리 코드와 구글의 기본 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자가 어떠한 앱을 개발할 때 필요에 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iOS에서는 허용하지 않는 멀티태스킹을 허용하여 어떤 프로세스가 화면을 점유하고..

예전에 주먹구구식으로 어플 개발을 해봤기 때문에 설치방법에 대한 포스팅은 건너뛴다. 먼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해보자. 이곳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어떠한 프로젝트를 생성할지 물어본다. 처음이니 빈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이름과 디렉토리를 정해주고, 가장 중요한 minimum api level을 정해준다. 몇 번 안되는 개발이었지만 api 레벨 때문에 생기는 오류가 꽤나 많았으니 본인의 휴대폰이나 AVD에 맞는 api레벨을 설정하자. 완료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생성된 프로젝트에서는 크게 MainActivity.java와 activity_main.xml을 볼 수 있다. activity_main.xml은 흔히 우리가 보는 레이아웃, 디자인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기본 설정으로는 ..